2024 국가교육위원회 백서Ⅰ e-book

제1차 직장교육은 직급별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디지털 기술 트렌드·전망, 정책역량·사례에 대한 교 육을 통해 디지털 역량을 제고하고자 마련되었다. 윤우제 교수(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를 초청하여 “GPT 인공지능 프롬프트 이해 및 활용”이라는 주제로 강연하였다. 챗 GPT의 탄생 배경부터 활용법까 지 상세하게 배우면서 업무에 활용하는 노하우까지 공유하는 유익한 시간이었다. 또한 디지털 관련 교육을 부처지정학습으로 지정함으로써 직장교육과 온라인교육을 연계하여 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제2차 직장교육은 6월 호국보훈의 달을 맞이하여 숭고한 희생을 기리며 사무처 직원의 호국·보훈 과 애국정신 함양을 위한 직장교육을 실시하였다. 이배용 위원장이 “한국 근대화 과정의 시련과 극복” 이라는 주제로 강연하였으며, 대한민국의 눈부신 성장의 원동력인 교육의 근본과 가치에 대해 역사적 맥락 속에서 살펴보는 시간을 가졌다. 주요 강연 내용은 대한민국이 반세기 만에 한국전쟁으로 인한 폐허를 극복하고 한강의 기적을 이룬 힘의 원천은 한국 국민의 높은 교육열에 있다고 하였다. 우리 국민들이 역사의 고비마다 ‘아 는 것이 힘이다’, ‘배워야 산다’는 일념으로 교육에 깊은 관심과 열정을 가질 수 있던 것도 모두 교 육을 중시해 온 우리 조상들의 정신에서 비롯된 것임을 말하였다. 특히,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는 미래가 없으며 전통 속에 미래가 있음을 언급하였다. 결국은 가장 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인 것이 될 수 있도록 미래를 준비해 나가야 함을 강조하였다. 제3차 직장교육은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차별을 줄이는 분위기 조성을 위해 이미영 강사(장 애인권센터)를 초청하여 “사회적 장애인식개선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직장 내의 장애감수성에 대한 이 해도를 높이는 시간을 가졌다. 비장애인 중심 사회에서 버스를 타고, 대화를 나누고, 책을 읽는 평범한 생활이 장애인에게는 특별한 행위가 될 수 있음을 역설하였다. 이런 일상생활의 사소한 부분에서 장애 인에 대한 편견이 생길 수 있다고 설명하며, 장애인과 함께하는 동행은 우리의 작은 관심과 배려에서 출발한다고 덧붙였다. 이렇게 주요 계기별 직장교육을 통해 공직자로서의 기본소양 함양을 위한 주요 정책 및 법정의무교육 관련 교육을 실시하여 사무처 직원의 직무 전문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국가교육위원회는 앞으로도 자발적인 역량개발을 독려하고 지원하기 위해 디지털·인문학·역사 등 다양한 주제로 직장교육을 추진할 것이며, 시간과 공간의 제약없이 언제 어디서나 필요한 지식 을 학습할 수 있도록 온라인 교육을 활성화하여 직무 전문성 함양 등 직원의 자기 개발에 대한 제도 적 기반을 마련하는데 노력할 것이다. 2024 국가교육위원회 백서 Ⅰ 21

RkJQdWJsaXNoZXIy MjQyMzM2OQ==